![](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C4VCh/btrb5m6WPLx/jp2jvkAKrHaPKrpnrmTmX0/img.jpg)
출산하면 산모는 똑똑해진다? 과연? 미국 예일 대학교 의과대학의 김필영 박사는 산모는 출산 후 몇 달에 걸쳐 특정 호르몬의 분비량이 변하면서 아기를 양육하는 데 필요한 기능과 관련된 뇌 부위들이 커진다고 밝혔다. 이에 출산 후에는 산모가 아기를 키우는 데 필요한 능력을 갖추기 위해 뇌의 회색질 용적이 상당히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회색질은 대뇌의 겉 부분으로 신경세포들이 모여있으며 회백색을 띠고 있으며 신경돌기들이 모여있는 속 부분은 하얀색이어서 백질이라고 불린다. 김 박사는 출산한 여성 19명(평균 연령 33세)을 대상으로 출산 2-3주 후와 3-4개월 후 자기 공명 영상(MRI)을 통해 뇌를 관찰한 결과 동기, 판단, 감정 등을 관장하는 뇌에 여러 부위에서 회색질 용적이 증가한 된 것을 확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tMWvV/btrcebI2Jwp/khE2ZrDXJWqWolKkLStvjK/img.jpg)
남녀 임신 가능 나이, 가임기 연령 최근 배우 김용건은 올해 75세이지만 곧 아이 아빠가 된다는 뉴스가 나와 사회적으로 큰 이슈를 끌었다. 김용건의 아이를 임신한 여성은 올해 37세로 일반인이며 이 여성이 아이를 낳으면 배우 김용건에게는 3번째 자녀를 얻게 되는 셈이다. 그렇다면 남성의 생식 능력은 몇 세까지 지속할 수 있을까? 이론적으로 70대 이상까지 얼마든지 수정 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는 이론상 그렇다는 것이지 실제로는 다소 거리가 있다. 남녀의 생물학적 생식능력과 함께 남성과 여성 간에 실제로 짝을 이루는 나이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 또한 여성의 생식력이 가장 왕성한 시기는 20대이며 여성의 수정 능력은 30대, 특히 35세 이후 서서히 떨어진다고 한다. 30세 여성의 경우 매..